깃(Git) 설치부터 기본 사용, 개념까지 완전 상세 설명! -2

반응형
728x170

저번 포스팅에서는 깃의 설치까지 알아봤습니다(클릭 시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깃의 개념과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깃의 개념

 

가장 기본적이고 당장 필요한 개념만 알려드리겠습니다

 

① 커밋

- 자신이 코딩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기 전에 특정 데이터로 기록을 해두는 작업

- 자신이 편집중이 프로그램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쉽게 말하자면 로컬 파일과 업로드된 파일의 중간 정도에 있는 데이터

 

② 푸시

- 커밋된 파일을 실제로 업로드하는 작업

- 자신이 만든 파일과 동일한 파일이 업로드된다

 

③ 리포지토리

- 실제 작업한 파일들이 저장되는 장소

-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파일이라면 = 로컬 리포지토리

- 클라우드 같이 인터넷에 업로드된 파일이면 = 리모트 리포지토리

 

개념만 너무 많이 있으면 재미 없으니 포스팅을 진행하면서 조금씩 더 알려드리겠습니다


2. 깃으로 커밋까지 해보기

 

- 커밋까지는 깃허브(GitHub)까지 필요 없기 때문에 방금 설치한 Git 만으로도 가능하다

- 준비물 : 메모장 or 코딩 프로그램(Visual Studio Code 추천)

 

※ 깃을 사용하기 전 주의 사항

- 보통 1개의 프로젝트 = 1개의 리모트 리포지토리에 업로드

- 즉,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1개의 리모트 리포지토리에 업로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위 내용은 이해가 잘 안갈테지만, 지금은 그렇구나...하고 넘어가시면됩니다

 

① 바탕화면에 폴더를 만듭니다

- 저는 new project라는 이름을 붙여서 만들겠습니다

 

 

②  이 폴더 안에 들어가서 우클릭 -> Git Bash Here을 클릭합니다

- Git Bash가 잘 실행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메모장 or 원하는 코딩 프로그램을 열고 아무거나 적어서 1번 폴더에 저장합니다

- 아래는 제 예시입니다

 

new project 폴더에 코딩저장

 

④ Git Bash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git init

- 해당 디렉토리에 리포지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 해당 폴더를 깃의 저장소로 사용하겠다는 의미

 

그리고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⑤ git status

- 현재 로컬 리포지토리의 상태를 표시해줌

- 커밋하기 전까지의 내용을 볼 수 있음

- 그림을 보면 새로 만든 메모장 파일이 "빨간 글씨"로 나타남

- 이는 새로운 파일 or 수정된 파일이라는 의미임

- status는 커밋 전까지의 내용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커밋을 한다면 사라질 것임

 

 

⑥ git add .

- add와 .(콤마) 사이에 띄워쓰기 있음

- add : 어떤 파일을 커밋 대상에 넣을 것인지 선정하는 커맨드

- .(콤마) : 해당 리포지토리의 모든 파일을 의미

 

git add를 이용하여 .(콤마)가 아닌 1개씩 개별로 지정도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add .만 사용하기 때문에 여기선 이것만 알려드리겠습니다

 

git add .을 입력

300x250

 

⑦ 다시 git status

- 아까 "빨간 글씨"가 "초록색"으로 바뀐 것을 확인

- 초록색은 해당 파일들이 커밋 대상으로 선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⑧ 커밋하기

- git commit -m "원하는 텍스트"

- -m : 참조 코멘트로 한 줄로된 문자열을 입력가능

 

 

⑨ 다시 git status

- 모든 내용이 사라진 것을 확인가능

- 그 이유는 모든 파일을 커밋했기 때문에 현재 파일과 커밋한 파일의 내용이 일치

 

 


오늘은 깃을 사용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가장 기초적이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깃허브를 이용한 리모트 리포지토리 업로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