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C 명령어 - BCD, BIN명령어 사용 방법 및 예시

반응형
728x170

이번에는 디지털 표시기, 스위치에 주로 사용되는 BCD, BIN 명령어어 사용 방법입니다.

 

먼저 BCD입니다.

 


1. PLC에서 BCD 사용 방법 및 예시

 

[BCD S D]

- : [BCD D1000 D2000]

- BIN(2진수) -> BCD(2진화 10진수) 데이터로 변경

- BCD는 자릿수 별로 따로 2진법을 적용시키는 명령어

- PLC -> 디지털 표시기/스위치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

- 그 이유는 디지털 기기는 BCD로 데이터를 이해하기 때문에

 

BCD 1번 그림
BCD 2번 그림
BCD 3번 그림

 

3번 그림을 보면 BCD에서 2진화 10진법을 사용

 

4비트의 2진수를 이용하여 10진수의 자릿수 1개를 표현한다.

 

이렇게 하여 디지털 표시기에 숫자를 표현한다.

 

그리고 1,2 번 그림을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이 된다.

 

1. 입출력(X, Y)의 경우 4개가 1개의 세트이다.

- , Y00~03 = 1, Y04~07 = 1

 

2. BCD, 2진수 체계를 이용하여 10진수를 표현하는 것

- 42진수 = 위에서 언급한 4개가 1세트

- 4개의 2진수를 이용하여 10진수 자릿수 1개를 표현

- BCD D10 K2Y0 : Y0, Y1에 각각 0, 1를 넣어서 10을 표현한 것


2. PLC에서 BCD 사용 방법 및 예시

 

[BIN S D]

- : [BIN D1000 D2000]

- BDC(2진화 10진수) -> BIN(2진수) 데이터로 변경

- 디지털 표시기/스위치 -> PLC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

- BCD와 반대로 디지털 표시기/스위치에서 데이터를 얻을 때 사용함

- PLC는 이진수의 데이터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BIN 1번 그림
BIN 2번 그림
BIN 3번 그림

1번 그림과 같이 디지털 표시기에서 숫자 데이터를 받아

 

이를 연산하거나 할 때 사용하는 것이 "BIN 명령어"이다.

 

그리고 그림 2, 3번에 대해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다.

 

2. 이를 2번과 같이 출력

- X2 데이터가 깨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 확인 불가

 

3. 과 같이 입력 데이터(X) 1개당 릴레이(M)을 설정해두면 1개의 입출력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전달 가능

- 릴레이(M) On = 2진수 “1”

- 릴레이(M) Off = 2진수 “0”

 

300x250

오늘은 이렇게 MELSEC PLC의 BIN, BCD 명령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틀린 부분있으면 언제든지 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1

반응형
728x170

오늘은 CC-Link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간단히 정의부터 시작하자면

 

CC-Link란,

 

미쓰비시(MELSEC)에서 만든 통신규격으로

 

복잡한 배선 없이 몇 개 또는 단일화된 선 1개로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CC-Link에는 정말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마다 케이블의 모양이 다릅니다.

 

그중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는 CC-Link는 CC-Link IE이며

 

IE는 이더넷(LAN 케이블)을 이용한 CC-Link 통신을 의미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1. CC-Link의 연결 설정

 

다음과 같이 마스터 국 1개 / 로컬 국 1개의 구성을 만든다.

 

설명을 붙이자면

 

① 마스터 국이 로컬 국을 관리하는 형태

② 리모트 I/O는 CC-Link의 입출력 장치로 간주됨

③ CC-Link를 통해 신호가 입출력되며 별도의 입출력 장치가 필요하지 않음 → 이런 과정으로 여러 배선 작업이 생략된다.

④ 즉, 원거리의 PLC를 제어할 때 주로 사용

 


  • 각 번호를 설정

아래의 번호는 위 그림의 번호와 일치하는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① 마스터 국은0으로 설정

 

② 로컬 국에 몇 개의 번호를 줄지 설정

- 국(局)의 수가 많을수록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많아짐

- CC Link의 제한 국(局) 수는 64

- 그림과 같이 국 1에 2개를 주면 다음 국은 3이라는 번호를 할당 받음

- 각 점유 국 수가 많을수록 연결할 수 있는 기기의 수가 적어짐

 


  • 장치 설정

(왼쪽 그림에서의 번호는 아래의 번호 설명과 일치합니다.)

 

① 장치의 경우 순서대로 연결

- 단, 끝에는 종단 저항을 연결할 것

 

② 통신 속도 결정

- MODE에서 수동으로 속도 조절이 가능

- 전체 설정에서 “각 장치의 제일 낮은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

- 예 : 5 Mbps와 10 Mbps의 장치가 있을 경우 5 Mbps를 전체 통신 속도로 설정

- STATION.NO의 경우 국(局) 번 설정을 의미

- X10의 경우 10의 자리, x1의 경우 1의 자리 숫자를 의미

 

 

 

 

 

 

 

 


  • 마스터 국 / 로컬 국의 설정

① 마스터국 설정

- 점유 국 수 등 접속 기기에 대한 정보만 설정

 

② 로컬국 설정

- 점유 국 수에 대한 설정이 없음

- 단, 인텔리전트 디바이스 국은 예외

 

③ 국번 설정

- 국번의 경우 순서대로 설정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마음대로 설정 가능

- 단, 점유 국 수에 대해서는 계산이 필요함


  • 기타 설정 및 주의사항

① 각 기기의 국번, 점유 국 수, CC Link의 버전을 확인

- 일반 CC Link 버전의 경우 1과 2가 있으며 버전이 다르면 호환이 안 되는 경우가 있음

 

② 국(局) 종류를 확인

- 기기에 따라 원격 IO국이 될 수 없는 게 있음

- IO국이 될 수 없는 기기의 경우 비트 장치만 사용하는 국(局) 임

 

위에서 언급한 ①, ②은 기기 매뉴얼에서 확인 가능

300x250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2>에서는 Gx-works를 이용한 설정을 알아보겠습니다.

 

틀린 곳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2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2

1편은 하단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1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1 오늘은 CC-Link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간단히 정의부터 시작하자면 CC-Link란

mmol.tistory.com

 

반응형

댓글()

PLC 기초 - MELSEC PLC 각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

반응형
728x170

프로그램 작성시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나중에 각 디바이스 설명에 대한 링크를 1개씩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1) 입력 X

● PLC 입력 유닛에 연결된 입력 장치(스위치류, 센서류)의 ON/OFF 데이터를 저장하는 입력 디바이스입니다.

● 입력 데이터는 PLC CPU의 입력 저장 영역에 저장이 됩니다.

● X 디바이스는 프로그램상에서 코일로는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프로그램상에서 접점 사용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2) 출력 Y

● PLC 출력 유닛에 연결된 출력 장치(모터, 램프, 솔레노이드 등)에 연산 결과 (ON/OFF)를 전달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출력 디바이스입니다.

● 출력 리프레시시 출력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 유닛으로 전송합니다.

● Y 디바이스 프로그램상에서 코일 및 접점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단 동일 Y 디바이스의 출력 코일을 두번 이상 사용은 하지 못합니다.

 

3) 내부 릴레이 M

● CPU 외부로 직접 출력할 수 없는 PLC 내부의 보조 릴레이로서, CPU의 ON/OFF 접점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트 디바이스입니다.

● 파라미터에서 휘발성, 불휘발성 영역으로 가변이 가능합니다. (Default는 휘발성 영역)

● 프로그램에서 접점 및 코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출력 코일은 두번 이상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래치 릴레이 L

● 내부 릴레이와 사용 방법은 동일하나 불휘발성 영역으로 전원 OFF시에도 메모리 카세트내의 밧데리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하는 내부 릴레이입니다.

● 래치 데이터 삭제 방법은 CPU 전면의 Latch Reset 스위치를 이용합니다.

300x250



5) 스텝 릴레이 S

● 내부 릴레이와 사용 방법은 동일하나 스텝 릴레이로서 사용이 됩니다.

 

6) 링크 릴레이 B

● 내부 릴레이와 사용 방법은 동일하나 CPU간 네트워크 통신 또는 리모트 통신시 CPU간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는 디바이스입니다.

● 상세한 내용은 네트워크 매뉴얼을 참조 하십시오.

● 네트워크를 하지 않을 경우 내부 릴레이로서 이용 가능합니다.

 

7) 고장 검출용 릴레이 F

● 고장 검출용 릴레이로서 사전에 고장 검출용 프로그램을 작성해 두고 실행시 F릴레이중 ON된 디바이스 번호가 특수 레지스터 D9009에 저장이 됩니다.

 

8) 타이머 T

● ON Delay 타이머로서 설정값 단위에 따라 100ms 타이머, 10ms 타이머, 100ms 적산 타이머등 세종류의 타이머가 있습니다.

● 타이머 종류는 파라미터에서 설정합니다.

 

9) 카운터 C

● 기본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Up-Counter 및 Interrupt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Interrupt Counter 두 종류가 있습니다.

 

10) 데이터 레지스터 D

● CPU 내의 내부 데이터를 보관하는 저장 영역입니다.

● 16비트 또는 32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16비트 저장 영역은 -32768~+32767까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D9000~D9255의 영역은 시스템 제어 영역이므로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11) 링크 레지스터 W

● 네트워크 통신 및 리모트 통신시 CPU간 상호 워드 데이터를 공유하는 디바이스입니다.

● 상세한 사용 설명은 네트워크 매뉴얼을 참조하십시오.

● 네트워크를 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 레지스터(D) 영역과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12) 파일 레지스터 R

● CPU의 데이터 저장 영역(D,W)이 부족할 경우 메모리 카세트의 저장 영역을 이용하여 워드값을 저장할 경우 사용하는 디바이스입니다.

● 파라미터의 메모리 용량 설정 영역에서 파일 레지스터의 사용범위를 설정합니다.

● 파일 레지스터 1Point당 2Byte를 차지합니다.

 

13) 어큐뮬레이터 A

● 기본 명령 또는 응용 명령(ROR, SUM, SER등)의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임시 워드 저장 영역입니다.

 

14) 인덱스 레지스터 Z,V

● 디바이스 수식용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레지스터 영역입니다.

● MuN 타입의 경우 접점과 코일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 MuN, MnU 타입의 경우 접점과 코일에서도 인덱스 레지스터를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인덱스 레지스터 저장값에 따라 명령의 Source, Destination 영역이 가변됩니다.

 

다른 기타 디바이스와 같이 사용가능

 

● 예: D0001Z01 = D0001 + Z01

 

15) 네스팅 N

● MC, MCR의 Master Control 명령을 사용할 경우 영역을 지정하는 디바이스입니다.

 

16) 포인터 P

● 분기명령(CJ, SCJ, CALL,JMP)의 분기점을 지정하는 디바이스입니다.

 

17) 인터럽터용 포인트 I

● 인터럽터 요인이 발생할 경우 인터럽터 요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으로 분기하는 곳을 지정하는 디바이스입니다.

 

18) 10진수 지정 K

● 프로그램에서 10진수를 직접 지정할 경우 숫자 앞부분에 K를 입력한다.

● 예 K10, K200

 

19) 16진수 지정 H

● 프로그램에서 16진수를 직접 지정할 경우 숫자 앞부분에 H를 입력한다.

● 예 H100, H300

반응형

댓글()

PLC 래더 기초 - DECO 기초 사용방법 및 뜻(정의)

반응형
728x170

오늘은 PLC 래더 프로그래밍 중에서 조금 개념이 어려운 DECO를 살펴보겠습니다.

 

DECO의 경우 래더 프로그래밍에서 단계 제어를 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단계 제어란 

 

말 그대로 1단계씩 프로그래밍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먼저 DECO를 이용한 단계제어의 기본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줄씩 살펴보겠습니다.

 


1. DECO의 정의

 

[DECO D0 D1 K4]

 

① D0가 지정하는 수치의 비트를 2의 4승(=16비트=K4)로 변환해서 D1에 저장

② 예를 들어 D0 값이 5이면 명령 실행 후의 D1의 bit5 가 1로 됩니다.

③ D0 수치를 0~15까지 바꾸어 주면 D0의 수치에 맞는 비트 즉, D1의 bit0~15까지를 ON 시켜줄 수 있음

④ K부분의 값은 8(=2의 8승)까지 사용가능

 

다음 예를 보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현재 D0의 값은 255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M255에 1이라는 불이 들어와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위에서 정의한 DECO의 특징에 의해 다음과 같은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① K=8까지 지정 가능 = M0부터 시작하여 256비트를 지정 = M0256까지 사용 가능

② D0의 값에 따라 On(=1)되는 M값이 달라짐

 

즉, D0 : 1 → M0001 : On 이라는 말이 됩니다.

300x250

이를 이용하여 M0000~M0255까지 각 릴레이를 on/off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외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① 이를 M(릴레이)뿐 아니라 다른 곳에도 사용 가능하다.

② D0의 값에 따라 M0000~M0255중 반드시 1개만 On된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DECO를 이용하여 단계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사용되는 예를 한번 보겠습니다.


2. DECO의 사용예

 

제일 처음에 보여준 그림을 앞부분만 확대해서 한번 보겠습니다.

 

 

[DECO D0 M0 K4]

 

① K4이기때문에 M0000 ~ M0016까지 D0 값을 이용하여 on/off가능

② D0 : 1 → M01 : On

③ D0 : 2 → M02 : On  / M01 : Off

 

그리고 전체화면을 보겠습니다.

 

그림에 붙어있는 번호별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① M0~M4의 릴레이가 있으며 이는 DECO에 의해 1씩 더해질 계획입니다.

    처음에는 타이머(T10)가 움직여서 발동하게 됩니다.

 

② INCP 코드를 이용해 조건이 성립될 때마다 D0에 +1을 하게됩니다.

    즉, 순서대로 M0 → M1 → M2 → M3 → ......

 

DECO를 이용하여 단계 제어를 할 때 가장 큰 장점은

 

반드시 한 개의 비트(M)만 On되기 때문에 중복되어 실행될 일이 없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DECO를 이용하여 단계제어를 할 경우에는 타이머(T)를 이용하여 0.2초 정도 간격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