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人が教える韓国人彼氏、友達を作る方法 -1

반응형
728x170

今回のブログでは韓国人の彼氏を作る方法とその文化について話よしたいと思います。

 

まずは方法です。

 


1.アプリ

 

一番簡単に韓国人に会える、友達を作れる方法です。

 

もちろん、一番簡単な方法なので一番変な人も多いと思います。

 

では、その変な人を避ける方法を教えたいと思います。

 

 

① 長い期間話をすること

 

変な人は早く会ってなにか(Hとか。。。)をしたいと思う人ばかりです。

 

ですので、会うことに時間がかかると自然に会話をやめると思います。

 

最低1ヶ月は連絡、メッセージをして相手の考え方、行動を見ましょ。

 

 

② 酒?ご飯?

 

韓国で酒とご飯は友達が仲良くなる手段の一つです。

 

だから、アプリで話したばかりだけど酒又はご飯を誘われるかもしれません。

 

この場合驚かないでください。これは韓国の文化です。

 

あなたがまだ早いと思うなら丁寧に断ってください。

 

もし、変な人ならここでもう諦めると思います。

300x250

 

上の2つだけ守っても変な人はある程度避けれると思います。

 

その次は直接会って話しても大丈夫だと思います。

 


2.日韓交流会

 

ネットで検索してみると色々な交流会があります。

 

そこを行ってみると日韓交流会ですが韓国の男性、日本の女性交流会のことを分かります。

 

交流会の特徴は下となります。

 

① 友達と一緒に行ける

 

知らない人に会うことは恥ずかしいし、怖いかもしれないですが友達と一緒に行ったら大丈夫だと思います。

 

 

② 直接見ながら話ができる

 

アプリで話だけすることより人を分かりやすいです。

 

直接見てその人が自分と合う人かだいたい分かります。

 

 

③ 色々な人と話ができます。

 

アプリでは1:1の話しかできないですが、交流会では一回で多数の人と会えます。

 

韓国の彼氏、友達を作るため時間が短縮できるかもしれません。

 


ナンパ、クラブなどのことについては書かないです。

 

それはただ自分のスタイルの人を探すことで韓国人ということとはあんまり関係ないと思ったからです。

 

次の「韓国人が教える韓国人彼氏、友達を作る方法 -2」では韓国人を理解するための

 

文化差を教えたいと思います。

반응형

댓글()

PLC 명령어 - BCD, BIN명령어 사용 방법 및 예시

반응형
728x170

이번에는 디지털 표시기, 스위치에 주로 사용되는 BCD, BIN 명령어어 사용 방법입니다.

 

먼저 BCD입니다.

 


1. PLC에서 BCD 사용 방법 및 예시

 

[BCD S D]

- : [BCD D1000 D2000]

- BIN(2진수) -> BCD(2진화 10진수) 데이터로 변경

- BCD는 자릿수 별로 따로 2진법을 적용시키는 명령어

- PLC -> 디지털 표시기/스위치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

- 그 이유는 디지털 기기는 BCD로 데이터를 이해하기 때문에

 

BCD 1번 그림
BCD 2번 그림
BCD 3번 그림

 

3번 그림을 보면 BCD에서 2진화 10진법을 사용

 

4비트의 2진수를 이용하여 10진수의 자릿수 1개를 표현한다.

 

이렇게 하여 디지털 표시기에 숫자를 표현한다.

 

그리고 1,2 번 그림을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이 된다.

 

1. 입출력(X, Y)의 경우 4개가 1개의 세트이다.

- , Y00~03 = 1, Y04~07 = 1

 

2. BCD, 2진수 체계를 이용하여 10진수를 표현하는 것

- 42진수 = 위에서 언급한 4개가 1세트

- 4개의 2진수를 이용하여 10진수 자릿수 1개를 표현

- BCD D10 K2Y0 : Y0, Y1에 각각 0, 1를 넣어서 10을 표현한 것


2. PLC에서 BCD 사용 방법 및 예시

 

[BIN S D]

- : [BIN D1000 D2000]

- BDC(2진화 10진수) -> BIN(2진수) 데이터로 변경

- 디지털 표시기/스위치 -> PLC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

- BCD와 반대로 디지털 표시기/스위치에서 데이터를 얻을 때 사용함

- PLC는 이진수의 데이터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BIN 1번 그림
BIN 2번 그림
BIN 3번 그림

1번 그림과 같이 디지털 표시기에서 숫자 데이터를 받아

 

이를 연산하거나 할 때 사용하는 것이 "BIN 명령어"이다.

 

그리고 그림 2, 3번에 대해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다.

 

2. 이를 2번과 같이 출력

- X2 데이터가 깨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 확인 불가

 

3. 과 같이 입력 데이터(X) 1개당 릴레이(M)을 설정해두면 1개의 입출력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전달 가능

- 릴레이(M) On = 2진수 “1”

- 릴레이(M) Off = 2진수 “0”

 

300x250

오늘은 이렇게 MELSEC PLC의 BIN, BCD 명령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틀린 부분있으면 언제든지 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일본에서 코로나에 걸렸을 경우 보험은 어떻게 될까?

일본 뉴스|2020. 4. 9. 14:12
반응형
728x170

한국에서 코로나에 걸렸을 경우와 일본에서 코로나에 걸렸을 경우

 

병원비와 검사비용은 어떻게 되는지 비교해보겠습니다.

 

먼저 한국의 경우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한국에서 코로나에 걸렸을 경우 

 

① 검사비용

 

한국에서 코로나에 걸렸다고 생각하여 병원에 간다고 가정합시다.

 

의사가 환자의 상태와 의견을 들어보고 코로나 확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경우

 

즉, 의사의 소견이 있을 경우에는 코로나 검사 비용이 "무료"가 됩니다.

 

하지만, 자신의 판단으로 코로나 검사를 할 경우 16만원이라는 검사 비용이 소요됩니다.

 

② 치료비용

 

한국의 경우 코로나로 확정이 날 경우

 

모든 치료비용이 무료가 됩니다.

 

이는 국민, 외국인할 것없이 모두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전염병"에 걸린 사람이 국내에 있을 경우 그것을 막기 위해 무상 치료를 한다는 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법이기 때문입니다.


2. 일본에서 코로나에 걸렸을 경우

300x250

① 검사 비용

 

일본도 검사 비용은 무료에 해당한다.

 

이는 음성, 양성과 상관없이 무료로 진행됩니다.

 

그렇기때문에 "검사 비용"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와 차이가 없습니다.

 

② 치료 비용

 

우리나라와 가장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무료가 아닙니다.

 

일본의 언론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려서 입원을 할 경우 "공비"로 처리하겠다 라고 하는데

 

"공비 ≠무료"입니다.

 

단, 입원비용은 무료이며

 

보험 대상이 아닌 검사 및 치료라도 의료보험 대상이되어

 

10~30%의 본인 부담금을 내면됩니다.

 

단, 여기서 입원에 한해 "공적" 비용처리를 하기때문에

 

통원 치료를 하는 사람들은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뭔가 일본은 엄청 복잡하고 애매한 기준을 내세운거 같네요.

 

한국도 전원 무료가 아니라

 

세금을 내는 사람에게만 무료로 하고 나머지 관광객 같은 외국인에게는

 

일정부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일본은 자국민도 일정 돈을 받는데요 ㅠㅠ

 

반응형

댓글()

PLC 명령어 - PLS, PLF, SET, RST, BKRST 명령어 사용 방법 및 예시

반응형
728x170

MELSEC에서 사용하는 각종 명령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한 개의 게시물에 다 올리는 것은 효율이 매우 떨어지니 

 

몇 개씩 나누어서 올리겠습니다.

 

특정 명령어의 사용법이 궁금하신분은 블로그 내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1. PLS & PLF

 

<PLS>

 

• [PLS D]

- D : Direction

조건이 On -> Off가 되었을 때 한번 출력하는 펄스 명령어입니다.

조건이 계속 Off 상태여도 계속 출력을 하지 않습니다.

 

PLS의 예시

 

<PLF>

 

• [PLF D]

- D : Direction

• PLS와 반대기능을 가진 명령어

조건이 On -> Off가 되었을 때 한번 출력하는 펄스 명령어입니다.

조건이 계속 Off 상태여도 계속 출력을 하지 않습니다.

PLF 명령어


2. SET & RST & BKRST

 

<SET>

 

• [SET D]

- 조건이 On → 해당 비트 디바이스를 리셋할 때까지 On 상태로 유지

<RST>

 

• [RST D]

- 해당 비트 디바이스를 리셋(Reset) 시킨다.

- 주로 SET된 비트 디바이스를 off 시킬 때 사용함

 

 

<BKRST>

 

• [RST D1 D2]

- D1 ~ D2까지 모든 비트 디바이스를 리셋 한다.

- D1 ~ D2까지 반드시 순서대로 진행된다. (일부를 빼거나 하는 건 불가능)

 


다음에는 BCD, BIN 변환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300x250

이것 이외에 궁금한 명령어는 차츰 올릴 예정이니

 

검색으로 찾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