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NH) HTS 및 모바일에서 해외 배당금 얼마 받았는지 보는 방법!

잡다한 이야기|2020. 6. 13. 08:24
반응형
728x170

오늘은 나무(NH) HTS 및 모바일에서 해외 배당금 받은 내역을 어떻게 보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HTS라는게 메뉴도 너무 많고 복잡하더라고요 ㅠㅠ

 


1. HTS에서 해외 배당금 보는 방법

 

## HTS > 해외주식 > 잔고 및 거래내역 > [6062] 해외주식 거래내역

 

메뉴 찾기 버튼을 클릭 후 위 찾아보면 아래와 같이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이 항목을 클릭하여 들어가면

 

 

위와 같이 외화배당금입금 이라는 항목이 있을겁니다.

 

"외화정산금액"이라고 적힌 금액이 구체적으로 들어온 배당금이며 

 

단위는 해당 국가의 원화 기준입니다.

 

예를들어 미국 주식을 구입했을 경우에는 "달러"표기가 됩니다.

300x250

 


2. 모바일에서 해외 배당금 확인하는 방법

 

#메뉴 > 해외주식 > 해외주식 거래내역

 

이 메뉴에서 "입금" 탭을 보시면 외화배당금입금 항목만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Shark VPN 한국서버 연결하여 게임해본 후기

IT 관련 지식/게임 관련|2020. 6. 10. 13:40
반응형
728x170

Shark VPN은 인기가 있는 VPN

 

1. Express VPN

 

2. Nord VPN

 

과 달리 비교적 최근에 나온 VPN입니다.

 

그만큼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힘을 쓰고 있는 회사기이도 합니다.

 

그럼 어떠한 경쟁력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게임 했을 때의 후기를 남겨드리겠습니다.

 


1. 가격 경쟁력

 

위에서 언급한 2개의 VPN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30일 이내 해약시 100% 환불 제도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2. 무제한 ID 공유 가능

 

일반적으로 공유 가능한 ID의 갯수는 정해져있습니다.

 

하지만, Shark VPN의 경우 무제한으로 공유가 가능합니다.

 

이는 PC, 모바일 상관없이 모든 기기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즉, 저렴한 가격으로 혼자 써도 부담이 없는데 친구 or 가족들과 공유를 하여

 

돈을 나눠서 낼 수 도 있다는 것입니다.

 


3. 가격과 달리 빠른 속도와 전세계 수많은 서버량

 

가격은 저럼하지만 여타 다른 VPN과 동일한 기능을 대부분 제공하며

 

무제한 트래픽과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4. 사용하기 편한 인터페이스와 기능들

 

다른 유료 VPN의 기능을 대부분 제공합니다.

 

또한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법도 간단합니다.

 

서버 선택 화면
각종 기능 및 설정
연결 프로토콜 설정 화면

 


5. 친절한 문의 서비스

 

문의를 영어로 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답변이 상당히 빠릅니다.

 

일반적으로 문의는 하고나서 다음 날 답변이 오는게 대부분인데

300x250

Shark VPN의 경우 하루에도 몇번씩 메일을 주고받을 정도로 빨랐습니다.

 


6. 게임을 했을 때의 후기

 

아시다 시피 국산 게임은 해외 아이피 차단이된 게임이 많습니다.

 

특히 넥슨 게임의 경우 홈페이지 접속 / 홈페이지 로그인 / 게임 로그인

 

이렇게 3단계로 IP 확인을 하며 중간에 IP가 달라지면 접속을 할 수없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Shark VPN의 경우 Full VPN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해당 서버 IP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또한 Shark VPN의 경우 아래와 같이 네 가지의 접속 형태를 제공하는데

 

<IKEv2>

 

① 가장 빠른 속도의 서비스 제공

 

② Shark VPN 만 그럴지 모르지만 접속이 자주 끊김 = 게임에 적합하지 않음

 

 

<UDP / TDP>

 

① 속도는 보통

 

② 안정성 있는 접속 제공 = 게임할 때 사용

 

이러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보통 넷플릭스 같은 영상을 볼때는 <IKEv2>로

 

게임을 할때는 <UDP / TDP> 접속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IKEv2>로 접속했을 때는 하루에 몇번이나 끊겼지만

 

<UDP / TDP> 접속의 경우 하루에 1번 끊길까 말까한 정도였습니다.

 


7. 단점

 

Shark VPN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VPN에 연결시 일부 사이트에 접속이 불가능한 일이 몇 번 일어났습니다.

 

특히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해외 IP를 차단하는 국산 게임의 접속이 불가능해져서 난감했습니다.

 

재부팅해도 해결되지 않으며 접속 형태를 바꿔도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고객센터에 물어봐도 VPN이란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딱 이거다! 하는 해결책을 제시해주진 못했습니다.

 

이 현상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해결되었습니다....

 

이 현상이 해결되기 까지 걸린 시간은 약 1일 정도로 꽤 긴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8. 마무리

 

Shark VPN은 정말 좋은 VPN입니다.

 

딱히 위험한 일을 하지않고 해외 게임 / 영상을 즐기고 싶은 분들게는 이만한 VPN이 없는거 같습니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제가 언급한 갑자기 오류가 발생하여 하루 정도는 이용할 수 없는 점인거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

일본 부양가족 신청에 따른 세금감면 얼마나 될까?

반응형
728x170

저번 블로그에서 부양가족의 대상과 그 감면 금액이 얼마인지 "대략적"으로 알아봤습니다.

 

일본 부양가족 공제 - 얼마 공제 받는지 정확히 알려줌!

 

일본 부양가족 공제 - 얼마 공제 받는지 정확히 알려줌!

일본에서 외국인들은 부양가족 공제를 받는 게 쉽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조금이라도 세금을 덜 낼 수 있게 제가 친절히 도와드리겠습니다! 일본 돈 이야기에 대해 더 보고 싶다면?? 👈여기!

mmol.tistory.com

 

이번 블로그에서는 정확히 감면 대상이 되는 세금은 무엇이고

 

얼마나 감면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어떤 세금 항목이 감면되는가?

 

일단 일본에서 내는 일반적인 세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소득세

 

② 국민연금

 

③ 의료보험료

 

④ 주민세

 

⑤ 고용세

 

이중에서 실질적인 감면효과를 받는 것은 ①과 ④입니다.

 

일단 ①소득세의 경우 소득마다 구분이 있어서 다 다르게 나옵니다

 

이 부분은 일본의 국세청을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nta.go.jp/publication/pamph/gensen/zeigakuhyo2019/02.htm

 

令和2年分 源泉徴収税額表|国税庁

ホーム刊行物等パンフレット・手引令和2年分 源泉徴収税額表 【ご注意ください】  この源泉徴収税額表は、令和2年分の給与等について、所得税と復興特別所得税を併せて源泉徴収する際

www.nta.go.jp


2. 주민세는 얼마나 감면되는가?

 

일단 작년과 올해 연수입이 정확히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매년 날아오는 

 

급여소득에 따른 시민세, 현민세 특별징수 세액(給与所得に係る市民税県民税特別徴収税額)가 있다면

 

갖고오셔서 보는 것이 상당히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이렇게 생긴 종이입니다.(사는 곳에 따라 항목,  표가 조금씩 다릅니다.)

 

먼저 여기에 나오는 주요 용어들에 대해 정의를 말해드리겠습니다

 

  • 총 소득 금액 : 작년에 받은 세후 금액
  • 소득공제합계 : 공제 받는 금액의 합계
  • 총 소득 = 총 소득 금액 - 소득공제합계
  • 시민세 : 자신이 살고 있는 시에 대해 지불하는 세금
  • 현민세 : 자신이 살고 있는 현에 대해 지불하는 세금
  • 시의 균등할액 : 총 소득이 일정 금액 이상일 경우 할인해주는 금액
  • 현의 균등할액 : 총 소득이 일정 금액 이상일 경우 할인해주는 금액
  • 기초 공제 : 세금을 내는 시민 모두에게 주는 기본 공제 혜택

이제 아래의 가정에 따라 순서대로 본인의 급여를 넣어 계산하시면 됩니다.

 

  1. 총 소득 금액 = 300만엔
  2. 소득공제합계 = 66만엔
  3. 총 소득 = 300-66 = 234만엔 (각자 다 다릅니다. 여기선 대략적으로 제시함)
  4. 시민세 = 234만엔 * 8% = 187,000엔(1000엔 이하 버림)
  5. 시의 균등할액 적용 => 187,000 - 5000 = 182,000엔
  6. 현민세 = 234만엔 * 2.02% = 47,200엔(100엔 이하 버림)
  7. 현의 균등할액 적용 => 47,200 - 500 = 46,700엔
  8. 주민세 = 시민세 + 현민세 = 182,000 + 46,700 = 228,700
  9. 매달 지불하는 주민세 = 228,700/12 = 약 19,000엔

 

여기서 5번과 7번은 각 시(市)마다 기준과 할인 금액이 다릅니다.

 

제가 사는 곳의 경우 3번이 200만엔 이상일 경우 적용되며

 

시민세, 현민세가 각각 2,000엔 / 500엔 할인됩니다.

300x250

3. 만약 가족 공제를 안했다면 얼마를 더 내게될까?

 

위의 계산에서 가족 공제를 안했다면 얼마를 더 내게될지 똑같이 계산해보겠습니다.

 

  1. 총 소득 금액 = 300만엔
  2. 소득공제합계 = 33만엔
  3. 총 소득 = 300-33 = 267만엔 (각자 다 다릅니다. 여기선 대략적으로 제시함)
  4. 시민세 = 267만엔 * 8% = 213,000엔(1000엔 이하 버림)
  5. 시의 균등할액 적용 => 213,000 - 5000 = 208,000엔
  6. 현민세 = 267만엔 * 2.02% = 53,900엔(100엔 이하 버림)
  7. 현의 균등할액 적용 => 53,900 - 500 = 53,400엔
  8. 주민세 = 시민세 + 현민세 = 208,000 + 53,400 = 262,000
  9. 매달 지불하는 주민세 = 262,000/12 = 약 21,800엔

세후 수입 300만엔 기준 1명의 공제를 받으니 한달 약 2~3천엔 감세 효과가 적용됩니다.

 

아마 소득세까지 포함시킨다면 부양가족 1명당 약 3~4천엔 감세 효과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위의 결과는 자신이 사는 곳, 자신의 소득에 따라 달라지지만 계산 방식은 어디든 동일합니다.

 

크게 변할 수 있는 항목은 시민세, 현민세의 % 영역입니다.

 

이 부분은 자신이 사는 곳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2

PLC 지식/CC-Link|2020. 5. 26. 14:51
반응형
728x170

1편은 하단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1

 

PLC 기초 - CC-LINK의 기초 설명(자세히) -1

오늘은 CC-Link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간단히 정의부터 시작하자면 CC-Link란, 미쓰비시(MELSEC)에서 만든 통신규격으로 복잡한 배선 없이 몇 개 또는 단일화된 선 1개로 통신을 할 수 있게 만��

mmol.tistory.com

 

1편이랑 완벽히 이어지지 않는 부분도 있습니다 ㅠ

 

(저도 어떻게 연결시킬지 잘 모르겠네요...)

 

그래서 중복된 내용이 있을 수 있거나 갑자기 다른 이야기가 나올 가능성이 있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ㅠㅠ


1. CC-Link의 전송 방식

 

먼저 CC-Link에서 어떠한 전송 방식이 있는지 소개하겠습니다.

 

① 사이클릭 전송

- 네트워크로 지정된 영역의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자동 송신

- 따로 프로그래밍 하지 않아도 설정에 의해 자동 전송

- 일반적인 CC-Link 데이터 교환 방법

 

② 트랜전트 전송

- 데이터 교환 요청이 있을 때만 전송

 


2. CC-Link의 구성 및 종류

 

① 마스터국(局)

- 데이터 링크를 관리, 제어하는 국

- 네트워크 제어 정보를 보유(파라미터)

 

② 로컬국

- 마스터국 or 다른 로컬국과 교신을 함

 

③ 인텔리전트 디바이스국

- 시이클릭전송, 드랜전트 전송을 실시

- 로컬국도 인텔리전트 디바이스에 속함

 

④ 리모트국

- 리모트I/O국과 리모트 디바이스국이 있음

300x250

3. 리모트 입출력 디바이스와의 관계

 

RX, RY

- 리모트 입출력 디바이스

- 시퀀스 프로그램으로 직접 기술 불가

 

자동 리프레시

- 네트워크 파라미터로 설정

 

CC-Link에서 입출력 신호에 의해 데이터가 이동하는 모습

 


4. CC-Link의 개요

 

점유국수, 국번, 대수 설정

 

점유국수

- 자국(관리국 제외)의 수에 따라 결정

 

국번

- “0”번은 마스터국을 의미

- 유닛 1개당 부여하는 고유의 번호

- 전의 국번 + 전의 점유 국번 수 = 현재 국번

 

국번 지정 방법

 


다음 장에서는 실습을 연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에 일본어가 있는점 죄송합니다 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