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Git) 설치부터 기본 사용, 개념까지 완전 상세 설명! -1

반응형
728x170

먼저 깃(Git)이 뭔지 설명을 간단하게 드리겠습니다


1. 깃의 개념

 

<다른 사람들과의 협업을 도와줌>

 

요즘은 수십 수백명의 사람이 모여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협업이 거의 필수인데요

 

깃은 그런 협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나의 프로젝트를 보고 수정할 수 있고 나도 다른 사람들의 프로젝트를 보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마치 프로그래밍계의 위키피디아 같은 개념입니다

 

 

<버젼 관리>

 

화면에 '1'이라는 숫자가 나오는 어플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 다음 업데이트로 숫자 '3'이 나오게 합니다

 

이렇게 숫자를 추가하면서 업데이트를 하다보면 언제 어떤 숫자를 추가했는지 알기 힘듭니다

 

'깃'은 이렇게 버젼을 관리할 때 언제 어떤 업데이트를 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 깃의 설치 방법

 

설치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인터넷에서 깃의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왼쪽에 링크)

 

그리고 오른쪽 하단에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MAC은 MAC 버전 깃을 다운로드 받으시면됩니다)

 

 

깃의 홈페이지

 

그럼 다운로드가 끝나고 설치를 진행하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그리고 그냥 계속 'Next'를 클릭하시면 되는데

 

꼭 이 화면에서 '빨간 네모' 부분이 전부 체크가 되어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Git Bash Here에 체크!!

 

그 이유는 다음에 사용 방법의 부분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계속 'Next를 누르다 보시면 설치가 끝납니다 (굳이 다른 옵션을 건들 필요가 없습니다)

 

 

그럼 이제 'git bash'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깃의 실행 방법

300x250

깃을 실행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제일 많이 사용하는 방법만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바로 '우클릭'입니다

 

원하는 곳 어디서든 '우클릭'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Git Bash Here'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이 Git Bash Here이라는 것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됩니다

 

그리고 제일 위에는 자신이 우클릭하여 이 화면을 띄운 디렉토리(폴더 경로)가 적혀있을겁니다

 

(우클릭이 아닌 Git Bash를 직접 실행시 제 화면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참고로 그림에 있는 E03297은 고유 id이니 크게 신경쓸 필요 없습니다

사용자 이름은 모자이크 처리함 ㅎ

 

이제 이 화면을 이용하여 Git을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자세한 사용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진행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깃허브) does not have a commit checked out 에러 해결방법

IT 관련 지식|2020. 8. 21. 16:11
반응형
728x170

이 에러는 해당 로컬 리포지토리 안의 다른 디렉토리(폴더)에 .git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흔히 한개의 폴더 안에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넣어서 관리하는데

 

이때 최상위 폴터에 로컬 리포지토리를 설정하지 않고 하위 폴더에 init을 한 다음

 

나중에 그걸 까먹고 다시 최상위 폴더에 init을 하여 로컬 리포지토리를 재설정 해버리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해결 방법>

 

 

1. add를 하고싶은 폴더를 연다

 

2. win10 기준) 숨김 폴더를 볼 수 있게 한다

 

3. 1번 안에 있는 하위 폴더중 .git이 들어있는 폴더를 전부 찾는다

 

4. 3번에서 찾은 .git을 모두 삭제한다 (1번 폴더에 있는 .git 폴더는 지우면 안됩니다!!)

 

5. 다시 add를 해본다


끝입니다

300x250

 

반응형

댓글()

20.08.18 일본에서는 카드를 써도 불편하다...

반응형
728x170

한국에 살면서 제일 좋은점이 무엇인줄 아는가?

 

빠른 인터넷?  간편한 인터넷 결제?  

 

ㄴㄴ 카드 사용시 바로 알림이 온다는 것이다

 

아니, 이 뭔 중공군 몰려오는 소리인가, 카드 사용하면 문자 바로오는거 당연한거 아님??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 일본에 오기 전까지는.....

 

일본의 신용카드는 참 대단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바로 인간의 눈으로 확인하는 작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카드 사용시 바로 사용자에게 알림이 가지만,

 

일본의 경우 매장에서 정산을 해주고 카드 회사에서 처리를 해야 알림이 간다.

 

그래서 최소 하루 ~ 일주일 정도 걸린다.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알림이 늦게 가면 소비자가 달려와서 매장 주인 멱살을 잡아도

 

알바가 " 카드 이력 늦는건 선 넘었지..."라고 말할 것이다.

 

그래서 일본 신용카드 어플에는 애초에 카드 사용에 대한 알림 서비스가 없다 ㅎㅎ

 

홍철 없는 홍철팀....


이때문에 최근에 난 개빡치는 일을 겪었다.

 

어느날 0시 잘려고 누웠는데 휴대폰에서 알림이 왔다

 

훗, 역시 인싸... 0시에도 누군가 날 찾는건가 하고 휴대폰을 봤는데

 

부정사용이 감지되었으니 확인해보란다

 

일본에서 보이스 피싱이 있나 해서 봤는데 진짜 부정사용이었고

 

군대 근무시간도 아닌데 자다가 일어나서 카드사에 전화를 했다

김병장님 근무시간입니다.

그 후 한 달.... 카드 재발급도 받았고 문제가 해결된줄 알았으나

 

가계부를 정리하던 도중 이상한 이상한 결제를 발견했다

 

그 부정 사용이 있고 다음 날 또 사용했던 것이다....ㄴ아ㅣㅓㄻ;ㅎㄴㅇㄴㅇ러ㅣㅏ

 

이걸 발견한 순간부터 빡쳐서 일이 손에 잡히질 않았다

 

왜냐면 카드사에 전화를 해야하는데 전화는 쳐 받질 않고 대기만 하고 이 대기하는 것도 전부 통신비이기 때문이다

 

이 날 통신비만 9000원이 나왔고.... 환불은 심사를 해야되니 5개월 기다리란다 ㅎ

 

내 꿈은 일본에서 장사를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이 나라는 다 호갱밖에 없으니까....

 

 

반응형

댓글()

!! 미밴드4 누구든지 할 수 있는 한국어 패치 초간단 방법 !!

반응형
728x170

먼저 제가 이번 블로그에서 사용한 미밴드4는 '중국어 제품'입니다.

 

하지만, 글로벌 버전의 미밴드4에서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는 방법입니다.

 

대신에 제가 알려주는 방법은 안드로이드에서만 사용가능한 방법입니다.

 

아이폰의 경우 분기점이 생기기때문에 밑의 과정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1. Mi fit 앱을 다운받고 앱의 버젼을 확인한다

 

- 제가 블로그에서 제공하는 어플의 버젼은 1.0.9.48이므로 앱에서 보이는 버젼이 이보다 낮아야합니다

- 대부분은 자동으로 업뎃이 안되기때문에 이보다 낮을겁니다

 

펌웨어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휴대폰의 [설정]에 들어간다

② [어플리케이션]으로 들어가서 Mi fit앱을 찾는다

③ 아래의 그림과 같이 펌웨어 버전을 찾는다

 

 

 

 


2. Mi fit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해제한다

 

Mi fit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경우 기껏 한글 패치한게 풀려버리니 꼭 해제합시다

 

① 플레이 스토어에 들어가서 방금 다운 받은 Mi fit을 찾는다

② 아래의 그림 부분을 클릭한다

③ [자동 업데이트] 부분의 체크를 해제한다

 


3. Mi fit과 미밴드4를 페어링한다

 

① 미밴드를 켠다

② Mi fit밴드로 미밴드4를 찾아서 페어링한다

(이 부분은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 따로 사진을 첨부하지 않겠습니다.)

300x250

4. notify & finess for mi를 다운로드 한다

 

- 이 부분은 안드로이드 휴대폰만 실시합니다

- 플레이스토어에서 notify&finessformi를 다운로드한다

- 아이폰의 경우 이 어플 대신 아래의 AmazTool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아이폰의 경우 이 어플 다운

- 패치하는 방법은 둘 다 비슷하고 같은 파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똑같이 하시면됩니다

 


5. nofity & finess for mi 페어링

 

① 미밴드 및 Mi fit앱과 연동시킨다 (이 부분은 실행시 자동으로 실시합니다)

 


6. 아래의 파일을 전부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푼다

 

미밴드 한글 설치.zip
3.16MB

- 압축을 풀었다면 자신의 '휴대폰'을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미밴드4를 연결하는게 아닙니다...)


7. 휴대폰에 파일 넣기

 

- 압축을 풀어서 나온 파일을 그대로 휴대폰에 넣습니다

- 해당 파일들이 들어있는 위치까지의 모든 디렉토리(폴더)는 영문이어야합니다

 


8. 펌웨어 업데이트 및 한글 패치하기

- 여기서부터 중요한 작업입니다.

- 꼭 순서대로 하시길 바랍니다.

 

① notify & fitnees for mi 어플을 실행하고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

 

 

- 혹시 글로벌 버전을 사용하시는 분은 아래의 그림처럼 미밴드4의 언어를 '중국어'로 바꿔야합니다

- 이는 notify & fitness for mi 앱에서 할 수 있습니다.

 

② 펌웨어 업데이트 하기

- [MB4_V1.0.9.48] 폴더에 있던 .fw 파일을 선택하고 업데이트 한다

- 이제부터 하는 모든 업데이트는 이 버튼을 클릭하여 실시합니다

- 실시해보면 휴대폰에서의 업데이트가 먼저 끝나고 다음에 미밴드4의 업뎃이 끝납니다

- 그러니 미밴드4가 멈춘거 같이 보여도 그냥 기다리시면됩니다

 

 

③ [MB4_V1.0.9.48] 폴더에 있던 .bin 파일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한다

- 똑같이 휴대폰쪽의 업데이트가 먼저 끝납니다

 

④ [MB4_V93_ko_by_Morb] 폴더에 있던 .res 파일을 선택하여 업데이트 한다

 

⑤ [MB4_Font_KJC_R6] 폴더에 있는 .ft 파일을 선택하고 업데이트 한다

 


다 끝나고 확인해보시면 미밴드4가 한글화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 블로그를 봐도 과정이 애매하거나 과정이 몇 개 빠진 설치법이 많길래 만들어봤습니다.

 

꽤 상세하게 적었으니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미밴드를 국내 정발이 아닌 한글 패치를 통해 이용하고싶은 분은 글로벌 버젼이 아닌

 

중국어 버전을 사시는게 한글 패치하기 더 편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