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C 파라미터 설정 -2(부팅파일 /프로그램 /디바이스 설정, IO할당)

반응형
728x170

<PLC 파라미터 설정 -1>에 이어서 2편을 진행하겠습니다.

 

참고로 1편의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PLC 파라미터 설정 -1(PC 시스템 설정, PC 파일 설정, PC RAS 설정)

 

PLC 파라미터 설정 -1(PC 시스템 설정, PC 파일설정, PC RAS 설정)

이번에는 PC 컴퓨터에서 PLC의 파라미터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LC 파라미터 설정에서는 PLC의 저장공간에 대한 할당, 각 유닛에 대한 할당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일..

mmol.tistory.com


1. 부팅파일 설정

 

SD 카드 등에 의한 부팅 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설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 ROM 또는 메모리 카드에서 CPU의 프로그램 메모리 (프로그램을 연산하는 메모리)에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 SD 카드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굳이 설정할 필요 없음

 


2. 프로그램 설정

 

반드시 설정해야하는 항목입니다.

 

 

① 실행시키고 싶은 프로그램을 선택

 

② 삽입 / 삭제 버튼을 이용하여 실제로 실행시킬 프로그램들을 선별

- 래더 프로그래밍을 하여서 저장했어도 여기서 설정하지 않는다면 CPU에서 이걸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인지하지 않는다.

 


3. 디바이스 설정

 

PLC의 전원이 꺼져도 내부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게 설정 가능한 영역을 지정

 

예를 들어 2번 [데이터 레지스터]

 

① 래치(1) 선단 : D1000

 

② 래치(1) 최종 : D5000

- 이렇게 설정 시 디바이스 D1000 ~ D5000의 데이터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음

 

*래치 : PLC를 끄더라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영역

 


4. I/O 할당

 

반드시 설정할 필요가 있음

 

① 각 슬롯별로 끼워진 유닛의 종류를 선택

 

② 그 유닛의 이름을 적어 넣으면 됨

 

③ 베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입력

- 특히 슬롯수는 반드시 입력해야 함

 


5. 멀티 CPU 설정

 

- 하나의 베이스에 2개 이상의 CPU를 장착할 때 사용

- 위의 사항 이외에는 설정할 필요 없음

 


6. 내장 Ethernet 포트 설정

- 주로 터치 패널과의 연동 등에 사용됨

 

 

- "RUN 중 덮어쓰기 가능” 기능의 경우 사용함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음

- 이 기능을 "사용 안 함"으로 할 경우 내부 Ehternet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변경 시 반드시 PLC 멈춰야 함


이걸로 PLC의 파라미터 설정에 대한 설명은 끝났습니다.

300x250

 

반응형

댓글()

PLC 파라미터 설정 -1(PC 시스템 설정, PC 파일설정, PC RAS 설정)

반응형
728x170

이번에는 PC 컴퓨터에서 PLC의 파라미터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LC 파라미터 설정에서는 PLC의 저장공간에 대한 할당, 각 유닛에 대한 할당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일할 때 사용하는 컴퓨터가 일본어라

 

인터페이스가 일본어인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ㅠㅠ

 

그래도 대충 알아보는 데에는 크게 문제가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모든 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사진에서 이용된 소프트는 Gx-works2입니다.


1. PC 파라미터 설정

 

프로젝트를 만드시거나 열고난 후에

 

왼쪽을 보면 아래와 같은 그림의 창이 보입니다.

 

 

여기서 "PC 파라미터"라고 되어있는 곳을 클릭하여 들어가면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2. PLC 이름 설정

 

이 설정을 이용하여

 

PLC에 기본적인 정보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① 라벨

- PLC 의 별칭을 설정한다

- 주로 제어반의 이름 등을 기재

 

코멘트

- PLC에 대한 설명을 적는다

- 주로 제어반의 기능 등을 기재

 


3. PC 시스템 설정

 

이 항목의 경우 내용이 많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는 것만 언급하겠습니다.

 

 

① 타이머 시간 설정

- 내부 타이머의 시간을 설정 가능

- 저속 타이머, 고속 타이머 시간 설정 가능

 

② 원격 리셋

- 연결된 PC에서 원격으로 CPU 리셋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

 

③ STOP / RUN 모드 변경에 따른 출력 설정

- STOP -> RUN 시 도중에 멈춤 부분에서부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

- STOP -> RUN 시 처음부터 다시 프로그램을 실행

 

④ 각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포인터와 공용 포인터를 나눌 때 사용

- 여러 프로그램을 만들 때에는 적당히 나누는 것이 좋음

 


4. PC RAS 설정

 

이 부분 또한 주로 사용되는 항목만 언급하겠습니다.

 

 

① 에러 발생 시 운전모드

- 해당 오류가 발생 시 어떻게 운전할지 설정함

- 일반적으로 “계속”으로 설정해 놓음

-정지로 설정하여 실제로 정지할 경우 CPU를 리셋 하거나 전원을 껏다가 켜지않으면 다시 작동하지 않음

 

② 계속 스캔

- 프로그램의 스캔 주기를 “정주기”로 설정하고 싶을 때 사용

300x250

나머지는 <PLC 파라미터 설정 -2>에서 언급하겠습니다.

 

그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티스토리 VS 구글 블로그(Blogger) 검색 SEO 결과 비교

반응형
728x170

구글에서 운영중인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만들면

 

좀 더 구글 내에서 검색이 잘 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어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국내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기준으로 말을 하겠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와 구글 블로그(Blogger)의 경우

 

동일한 과정을 거쳐 구글 Search Console에 등록을 하였으며

 

그 과정은 아래 제 블로그에서 등록한 글의 과정과 동일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Search Console 등록 방법>

블로그 만들고 구글에 등록까지 하기 - 웹마스터 등록

 

블로그 만들고 구글에 등록까지 하기 - 웹마스터 등록

이번에는 블로그를 만들고 구글에 검색되게 등록까지 하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인터넷을 보니 구버젼으로 올리신분도 많고 자세하게 올리지 않은 분들이 많더라고요.... 1. 블로그 만들기 제일 기본적인 1단계입니..

mmol.tistory.com

블로그 만들고 구글에 등록까지 하기 - XML 등록과 RSS 등록

 

블로그 만들고 구글에 등록까지 하기 - XML 등록과 RSS 등록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XML 등록과 RSS 등록을 해보겠습니다. 이전 자료를 보고싶은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mmol.tistory.com/entry/%EB%B8%94%EB%A1%9C%EA%B7%B8-%EB%A..

mmol.tistory.com

 

<구글 블로그 Search Console 등록방법>

구글 Blogger의 sitemap, res 등록 방법 및 블로그 시작하는 방법

 

구글 Blogger의 sitemap, res 등록 방법 및 블로그 시작하는 방법

한국어 블로그를 작성하는 분에게는 구글 Blogger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따로 손을 보지 않으면 SEO도 최적화 하기 어려울뿐더러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플러그인 같은 시스템도 티스토리나 다른 기타..

mmol.tistory.com

 


1. 티스토리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이 블로그를 운영했을 당시로 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 블로그의 경우 2019.09.30에 시작하였으며

 

시작 후 구글의 일주일간의 기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시면 이틀째 부터는 "클릭"은 안되더라도

 

유저들에 의해 검색이 되고 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평균 게재순위"입니다.

 

평균 게재순위를 보면 41.9로 이는 "페이지의 수"를 의미합니다.

 

즉, 인기가 없으니 "41.9 페이지"에 제 블로그 글이 게시되어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일단 "평균 게재순위"에 기록이 된다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구글 블로그"를 확인해보겠습니다.

300x250

2. 구글 블로그

 

구글 블로그의 경우 최근에 만들어서 Search Console에 등록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게시물을 2개 올린 후 약 4일간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13에 검색이 1개 있는 이유는

 

제가 구글 검색에 색인이 되어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색을 했기 때문입니다.

 

즉, 4일간 구글 블로그에 있는 글은 단 1번도 노출되어있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게시물의 경우 현재 티스토리 블로그에 게시되어 있는 블로그 중에서

 

몇개를 사용하였습니다.


3. 결론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구글 Search Console에 등록을 했음에도 불과하고

 

구글 블로그의 경우 색인은 되어있지만, 검색에서 나오지 않았습니다.

 

SEO의 경우 여러가지 변수 요인이 많습니다.

 

블로그의 스킨에도 영향을 받으며 게시물의 영향도 많이 받습니다.

 

또한 둘 다 특별한 에러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구글 블로그의 경우 인터넷 검색을 통해 추가적으로 몇가지를 더 수정하였음에도

 

결과는 그대로였습니다.

 

즉, 블로그를 할 생각이라면 무조건 "티스토리 블로그"로 시작해야될거 같습니다.

 

(사실 구글에서 구글 블로그를 버린 느낌이 많이 나긴합니다.)

반응형

댓글()

PLC 기초 - 래더 프로그램의 기초 - AND / OR

반응형
728x170

PLC에서 사용하는 래더 프로그래밍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조금 다릅니다.

 

대부분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코딩을 가지고

 

프로그래밍을 하지만, 래더의 경우 그림과 기호로 프로그래밍을 합니다.

 

래더 프로그래밍의 가장 기본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항상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진행된다.

② 항상 위에서 아래의 순서로 진행된다.

③ 처음부터 마지막의 [END]까지 진행하는 것을 "스캔"이라고 부른다.

 

위의 그림을 보면 현재 입력 부분인 "X0"이 On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저 부분에서 전기의 흐름이 멈춰있습니다.

 

이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개씩 조건이 있으며

 

모든 조건을 만족하면 "출력"을 합니다.

 

"조건"의 경우 수백, 수천가지의 조합이 가능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OR", "AND" 조건입니다.

 


1. OR / AND 조건 이해하기

300x250

 

① AND 조건

 

간단히 조건들을 한 줄로 나열할 경우 AND 조건이됩니다.

 

② OR 조건

 

조건을 다음 줄에 쓸 경우 OR 조건이 됩니다.

 

 

AND 조건과 OR 조건의 경우 섞어서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그림처럼 사용할 경우

 

"M1"을 발동하기 위해서는 

 

"X2", "M0" 둘 다 조건을 성립시키거나

 

"X3" 이 On 상태이어만 발동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