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실전까지 VBA 엑셀13 - 조건문 Select Case

IT 관련 지식/VBA 공부|2019. 11. 2. 08:13
반응형
728x170

<VBA 엑셀13 - 조건문 Select case>

 

이번에는 if 조건문과 조금 다른 Selece Case라는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이 Select ~ Case는 ElseIf과 매우 비슷합니다.

 

하지만 조건이 많을 경우 Select Case가 훨씬 유리한데요

 

그 이유는 코딩이 짧아지고 직관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더 많은 VBA 자료를 보고 싶다면 ☜ 여기!!

 


1. 기본형

 

기본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럼 이제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죠

Select Case testexpression
    [Case expressionlist-n
        [statements-n]]
    ...
    [Case Else
        [elsestatements]]
End Select

 

testexpression 반드시 지정해야합니다.
주로 변수를 지정합니다.
expressionlist-n "testexpression"에서 지정한 변수가 만족할 조건을 입력합니다.
statements-n 선택 사항입니다.
"expressionlist-n"이 만족될 경우 실행할 코딩을 적는 구간입니다.
elsestatements 선택 사항입니다.
인수 testexpression이 모든 Case 절과 일치하지 않을 때, 실행할 코딩을 적는 구간입니다.

 


2. 예문

 

① 기본형

Select Case i `i는 여기서 변수
  Case 1
    'i=1일때 처리
  Case 2
    'i=2일때 처리

  Case Else
    'i가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때 처리
End Select

 

② Or 조건

 

Select Case i `i는 여기서 변수
  Case 1, 2
    'i=1 or 2일때 처리
  Case 3, 4
    'i=3 or 4일때 처리

  Case Else
    'i가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때 처리
End Select
300x250

 

 

③ 범위 지정

 

Select Case i `i는 여기서 변수
  Case 1 To 3
    'i= 1~3일때 처리
  Case 4 To 6
    'i= 4~6일때 처리

  Case Else
    'i가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때 처리
End Select

 

④ 부등호 사용

 

Select Case i `i는 여기서 변수
  Case Is < 2
    'i < 2일때 처리
  Case Is >=5
    'i >= 5일때 처리

  Case Else
    'i가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때 처리
End Select

 

주로 위와 같이 4개의 경우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If 조건문에서 사용한 예제를 Select Case를 이용하여 표현해보고 마치겠습니다.

 

<If절을 사용한 조건문>


Sub if1()

    If Cells(1, 1) >= 100 Then
        Cells(1, 2) = "○"
    Else
        Cells(1, 2) = "×"
    End If

End Sub

 

<Select Case를 사용한 조건문>

Sub select1()

    Select Case Cells(1, 1)
    
        Case Is >= 100
            Cells(1, 2) = "○"
        
        Case Else
            Cells(1, 2) = "X"
    End Select
    
End Sub

 

위와 같이 동일한 결과를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VBA 자료를 보고 싶다면 ☜ 여기!!

 

다음에는 신기한 MsgBox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일본 취업시 반드시 고려해야되는 4가지

반응형
728x170

<일본 취업시 반드시 고려해야되는 4가지>

 

지금은 한일 갈등때문에 인기가 조금 시들했지만

 

여전히 일본에 취업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분들을 위해 반드시 이 4가지를 알아본 다음에 와야한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네요.

 

특히 IT쪽 분들 제가 나중에 IT쪽 취업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볼게요...

 

IT 업계에서 일하고 싶은 분들은 일본에 오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일본 취직에 대해 더 알고싶다면?? 👈 Click!! 

 


1. 집세

 

뭐 한국의 경우 대기업에 들어가면 대부분 기숙사를 주니까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결혼을 하게되면 대부분 집을 사거나 전세, 월세를 살아야되는데요.

 

이는 일본도 마찬가지 입니다.(하지만, 일본은 전세가 없습니다.)

 

오사카나 도쿄쪽에서 일하시는 분은 사실 월세가 만만치 않을 겁니다.

 

도심 주변에서 거주한다면 원룸 기준 최소 60만원 정도를 내야합니다.

 

저 60만원은 정말 최소 입니다. 보통 70~80은 줘야 좀 깨끗한 방에서 살 수 있어요.

(원룸을요 ㅎㅎ)

 

그래서 거주할 곳의 집세가 얼마쯤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아래의 링크를 들어가보면 일본 각 지역에 대한 월세의 정보가 나와있습니다. 

 

https://suumo.jp/chintai/

 

거주하실 지역을 선택하셔서 1K 기준으로 월세가 얼마쯤 하는지 알아보세요.

 

어떻게 알아보면 되는지는 조금 뒤 <주택수당>편에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300x250

2. 보너스

 

일본에서 저축은 거의 보너스로 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왜냐하면 보너스를 많이 주는 회사는 1년에 천만원을 넘게 주거든요.

 

하지만 웃긴건 보너스를 보통 얼마나 주는지는 채용공고에 잘 적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일단 보너스가 적은 회사는 적기가 쪽팔리니 적지 않는 곳이며

 

대기업 또한 보너스가 실적마다 매번 다르게 지급되기 때문에 잘 적지 않는데요.

 

그래서 직접 알아봐야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알아보면 됩니다.

 

① 채용공고를 올린 회사에 직접 물어본다

- 물어볼 때 작년에 지급한 평균 보너스를 알고싶다고 하세요. 들으면 대충 감이 올겁니다.

- 가르쳐주지 않는 기업은 거르시는게 좋습니다...(특히 대기업 아니면 거의 100% 거르세요.)

 

② 구직 정보공유 사이트에서 직접 찾아본다.

- 일본도 한국처럼 회사의 평판이나 후기등을 올려놓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이곳에 들어가면 가끔 보너스에 대한 정보가 있으니 한번 찾아보세요.

- https://en-hyouban.com/

- "회사이름" + "일본어로 평판( 評判)이라고 검색하면 위 사이트 말고 다른 사이트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무턱대고 월급만 확인하지 마시고 보너스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주택 수당

 

제가 생각하기에 이번 항목이 지금까지 언급한 것 중에서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일본에서 살면 월세가 만만치 않거든요;;

 

주택 수당의 경우 회사마다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정말 잘 알아보셔야 합니다.

 

채용 공고에 정확히 얼마까지 지원해준다는 말이 없을 경우 반드시 물어봐야 하는 항목입니다.

 

참고로 대기업의 경우 

 

독신 기준 60~80만원

 

기혼 기준 80~100만원까지 지원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이래서 대기업을 가야....)

 

위의 기준은 좀 좋은 직장의 기준이며 최소 월세의 절반 정도를 지원해주는 곳에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절반"이라고 해도 본인이 부담하는 돈은 30~40만원쯤 되기 때문에 이것도 빠듯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보면 주택수당만 해도 연간 약 400 ~ 1,000만원 정도 받게 되는 거죠.

 


4. 순수 월급(세후 월급)

 

마지막으로 총정리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월세를 포함하여 내가 받을 월급에서 얼마가 남을지를 꼭 생각하셔야 합니다.

 

주민세가 나오는 2년차 부터는 월급의 대략 20%정도를 세금으로 냅니다.

 

+ 집세 + 생활비 등을 예상하여 연간 얼마를 저축할 수 있을 것인지

 

즉, 월급 - (월급*0.2) - 집세 - 생활비(식비, 광열비 등) - 휴대폰 = 순수하게 남는 돈

 

이렇게 대략적으로 파악한 다음에 오셔야됩니다.

 

사실 일본의 경우 2~3년차까지는 월급이 많이 오르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점도 고려해서 와야합니다.

 

참고로 20대에 한달에 (보너스 제외) 70만원 이상 저금할 수 있는 분은

 

일본에서도 거의 상위 20%정도 하는 사람들입니다 ㅋㅋㅋ(같은 20대 기준)

 


꼭 위의 사항들을 다 고려한 다음에 일본에 취업할 생각을 하세요.

 

일본와서 시간만 버리고 돌아가는 한국인들 진짜 많습니다 ㅠㅠ

 

일본 취직에 대해 더 알고싶다면?? 👈 Click!! 

[일본 직장생활/일본 취업] - 일본 취업 - IT 직종직종이 일본에서 좋은 이유 - 구직자 필독!

반응형

댓글()

기초부터 실전까지 VBA 엑셀12 - 조건문 If ~ ElseIf

IT 관련 지식/VBA 공부|2019. 10. 31. 08:00
반응형
728x170

<VBA 엑셀12 - 조건문 if else>

 

이전에 배운 if문에서 조금 더 발전한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더 많은 VBA 자료를 보고 싶다면 ☜ 여기!!

 

<기초부터 실전까지 VBA 엑셀11 - 조건문 if>에서 배운 것은 단순히 조건 1개만 사용하여 

 

if문을 사용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여러개의 조건을 걸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If ~ ElseIf ~ ElseIf의 기본형태

 

If 조건식 1 Then
  "조건식 1"이 True일 때 처리
ElseIf 조건식 2 Then
  "조건식 2"이 True일 때 처리
ElseIf 조건식 3 Then
  "조건식 3"이 True일 때 처리
...
Else
  모든 조건식이 False일 때 처리
End If

 

 

위와 같이 ElseIf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조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여러 개의 조건을 만들 수 있다는 것보다 If ~ Else만 사용했을 때 보다

 

코딩이 훨씬 짧고 단순해집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다음과 같은 예제를 보겠습니다.

 

300x250

2. 예제

 

<기초부터 실전까지 VBA 엑셀11 - 조건문 if>에서 사용한 예제를 그대로 사용하여

 

정확히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기초부터 실전까지 VBA 엑셀11 - 조건문 if> 에서 사용한 예제

Sub if2() 

If Cells(1, 1) >= 100 Then 
    If Cells(1, 1) >= 200 Then 
        Cells(1, 2) = "A"    '>= 200 
    Else 
        Cells(1, 2) = "B"    '>=100 AND < 200 
    End If 
     
Else 
     
    If Cells(1, 1) >= 50 Then 
        Cells(1, 2) = "C"    '< 100 AND >= 50 
    Else 
        Cells(1, 2) = "D"    '< 50 
    End If 
End If 

End Sub

 

<ElseIf를 사용했을 때>

Sub elseif1()

    If Cells(1, 1) >= 200 Then
    
        Cells(1, 2) = "A"    '>= 200
        
    ElseIf Cells(1, 1) >= 100 Then
    
        Cells(1, 2) = "B"    '>=100 AND < 200
    
    ElseIf Cells(1, 1) >= 50 Then
    
        Cells(1, 2) = "C"    '< 100 AND >= 50
        
    Else
    
        Cells(1, 2) = "D"    '< 50
    
End If

End Sub

위에 예제보다 밑의 예제가 훨씬 직관적은 눈에 들어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처럼 ElseIf를 사용할 경우 다수의 조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실습은 여기까지 입니다.

 

오늘도 마찬가지로 코딩 파일을 남겨놓겠습니다.

 

꼭 직접 손으로 코딩을 해보신 후

 

정 모르겠으면 다운 받으신 후, 무엇이 다른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더 많은 VBA 자료를 보고 싶다면 ☜ 여기!!

 

elseif문.txt
0.00MB

반응형

댓글()

일본 부양가족 공제 - 얼마 공제 받는지 정확히 알려줌!

반응형
728x170

일본에서 외국인들은 부양가족 공제를 받는 게 쉽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조금이라도 세금을 덜 낼 수 있게 제가 친절히 도와드리겠습니다!

 

일본 돈 이야기에 대해 더 보고 싶다면?? 👈여기!

 

일단 "扶養控除의 기본 메커니즘은"


부양하는 가족이 있을 경우 가처분소득이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여, 

 

1년동안 자신이 소득세와 주민세를 11월 年末調整(연말정산)을 통해 일부 다시 돌려주는 것입니다.


우선, 더 좋은 설명을 위해 소득세에 대해서 설명을 할게요. 

 

≪소득세의 매커니즘은수입으로부터 소득공제를 빼서 남은 소득을 가지고, 

소득 기준에 따라 세율을 부과하는 세금이에요. ≫

 


즉, 내가 이번달에 번 수입 그 자체에서 소득세가 나오는 것이 아니에요! 수익에서 소득 공제 후, 실질적 수입이라고 판단하고 거기서 소득세를 결정하게 됩니다. (소득세 비율은 소득마다 달라옹)



<참고>
No.2260 所得税の税率|所得税|国税庁
ここから本文です。 ホーム > 税について調べる > タックスアンサー > 所得税 > 所得額の計算と課税方法 > No.2260 所得税の税率 No.2260 所得税の税率 [平成29年4月1日現在法令等]  所得税の税率は、分離課税に対するものなどを除くと、5%から45%の7段階(平成19年分から平成26年分までは5%から40%の6段階)に区分されています。  課税される所得金額(千円未満の端数金額を切り捨てた後の金額です。)に対する所得税の金額は、次の速算表を使用すると簡単に求められます。 (平成27年分以降) 所得税の速算表 課税される所得金額 税率 控除額 195万円以下 5% 0円...

 

https://www.nta.go.jp/taxes/shiraberu/taxanswer/shotoku/2260.htm

 

No.2260 所得税の税率|所得税|国税庁

ホーム税の情報・手続・用紙税について調べるタックスアンサー(よくある税の質問)所得税No.2260 所得税の税率 [平成31年4月1日現在法令等]  所得税の税率は、分離課税に対するものなどを除くと、5%から45%の7段階に区分されています。  課税される所得金額(千円未満の端数金額を切り捨てた後の金額です。)に対する所得税の金額は、次の速算表を使用すると簡単に求められます。 (平成27年分以降) 所得税の速算表 課税される所得金額 税率 控除額 195万円以下 5% 0円 195万円を超え 330万円以下

www.nta.go.jp

 

추가 정보를 드리자면, 소득 공제에는 총 14가지가 있어요.

雑損控除、医療費控除、社会保険料控除、小規模企業共済等掛金控除、生命保険料控除、地震保険料控除、寄附金控除、障害者控除、寡婦(夫)控除、勤労学生控除、配偶者控除、配偶者特別控除、扶養控除そして基礎控除


* 基礎控除는 어느 회사원이든 기본적으로 공제를 받게 되는 혜택


여기서 14가지 중 다양한 소득공제가 해당이 된다면 운좋게 소득세가 0 인 경우도 발생됩니다만...

 

외노자인 저희들에게 거의 해당이 안될꺼에요 ㅠㅠ 그나마 결혼하신 분은 배우자 공제...?

이렇게 소득 공제 후, 수입에 의해서 주민세가 책정되는데요. 그렇기에 가처분 소득이 줄면 주민세가 자연스럽게 줄어들겠죠? 그러니 부양공제는 소득세와 주민세에서부터 내가 낸 세금을 돌려 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

300x250


부양공제, 우리 부모님도 가능할까요?

 

1. 세법상, 대상기준

 

扶養親族とは、その年の12月31日(納税者が年の中途で死亡し又は出国する場合は、その死亡又は出国の時)の現況

(1) 配偶者以外の親族(6親等内の血族及び3親等内の姻族をいいます。)又は都道府県知事から養育を委託された児童(いわゆる里子)や市町村長から養護を委託された老人であること。


(2) 納税者と生計を一にしていること。

간단히 말하면 

 

① 배우자 이외의 친족 = 부모님, 형제

② 납세자와 생계를 같이 할것

즉, 같이 살지 않아도 가족의 생계를 지원한다면 가능해요.


2. 부양하는 가족의 수입

 

・1月1日〜12月31日を年間収入の算定期間とする。
・給与が年間103万円以下
・公的年金の場合、65歳未満の方は年間108万円、65歳以上の方は年間158万円
・事業収入は必要経費を差し引いて38万円以下
・非課税の収入は含まれない(通勤交通費、失業給付、出産手当金など)


사실상, 부모님의 소득을 증명하는 서류를 내지는 않습니다. 단, 나중에 조사가 나올 수가 있습니다.

(근데 인터넷에서 보니 이건 회사마다 다른거 같더라고요.)

 

(대부분은 부모 소득에 대한 증명 자료를 제출하라고 하지 않습니다.)

 

(일단 직업, 소득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 자료를 한국에선 만들지 않거든요... 해봤자 건보료 정도....?)

 

 

자, 이제 부양 조건을 확인 했으니
11월 연말조정때까지 무엇을 준비해야할지 알아볼까요?

 



1. 원본의 가족관계증명서 (일본어 번역 필요)

 

가족관계증명서에는 가족의 이름, 생년월일, 거주지, 서로의 관계가 꼭꼭 들어가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출생신고서 등과 같은 서류로 증명이 부족한 공백을 매꿔야할 경우가....

통상, 발급 후 3 개월 이내로 제출하는 것이 좋아요. 한국에서 미리 발급받아 수개월이 지난 증명서를 내게 되면 불리할 수도 있거든요.

 

또한 , 일본에 있는 한국 영사관에서도 발급 받을 수 있으니 한국에서 받을 복사본을 받을 수 없는 사람은 연락을 해보세요!


자신의 직계 가족이 아닌 배우자의 가족을 부양하게 된다면 가족 관계증명서 외에도 배우자 측의 관계증명서도 필요해지는데요. 이것은 본인의 회사에 물어보면 자세히 가르쳐 줄것입니다.

 


2. 송금이력증명서 (복사본 가능/ 일어)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얼마를 최소 보내야한다는 금액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통상 1년에 20~30만엔은 최소 보내야한다 하더라고요.

 

한국으로 송금할 때 사용한 은행에 물어보면 어떻게 이력을 출력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려줄것입니다.

 

참고로 저는 "하나 송금"을 사용합니다.

 

사실 일본 은행은 수수료가 엄청나거든요. (환률도 미친 환률을 적용해요 ㅋㅋ)

 

그나마 좀 규모가 있고 믿을만한 은행이기 때문에 "하나 송금"을 주로 사용합니다.

 

반드시 주의해야할 점은

 

1. 등록할 부양가족 1명 = 1개의 통장 필요

 

2. 부모님 명의의 통장으로 돈을 보내야함

 

즉, 부/모 이렇게 2명을 부양한다고 등록할 경우

 

아빠 통장 1개 / 엄마 통장 1개 이렇게 필요합니다!!

 

옛날에는 "한쪽에 돈을 다 넣고 둘이서 쓴다" 이렇게 말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안된다고 합니다.


3. 부양가족 등록시 공제 받는 금액

 

이건 등록하는 부양 가족의 수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으 기준을 보면

 

 

1명당 38만엔이 공제된다고 합니다.

 

즉, 부모님 둘 다 공제 등록할 경우 전체 소득에서 38*2 = 76만엔이 공제가 된 금액이

 

소득으로 취급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죠.

 

여러분들이 매달 20만엔을 월급으로 가정합니다. 

 

그리고 2명의 가족을 부양한다고 등록했다고 가정합니다.

 

그럼 연간 소득은 240만엔이겠죠?

 

하지만 부양가족이 있으니 총 소득은 

 

240 - 76 = 164만엔

 

164만엔이라고 잡는 것입니다. 즉, 세금의 기준을 잡는 소득 금액이 공제만큼 줄어듭니다.

 

물론 매달 나가는 소득세의 경우 월급(20만엔) 기준에서 빠져나갑니다.

 

하지만 나중에 연말 정산에서 돈이 오히려 들어옵니다.

 

왜냐면 소득세에서 빠져나간게 공제전 금액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민세 역시 공제 후 금액에서 산정하기 때문에

 

내야되는 주민세도 줄어들게 됩니다.

 

여러분들도 꼭 신청해서 공제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거 한거랑 안한거랑 연간 7~80만원의 세금 차이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세금 공제의 경우 새로 주민세와 의료보험료가 갱신되는 6월부터 적용됩니다!

 


*** 추가 내용(20.09.23)***

 

2023년(令和5年)부터는 송금 금액에 법적으로 기준이 생긴다고 합니다!

 

만 30세~70세 이하의 부양가족에게는 꼭 연간 38만엔 이상을 송금해야한다고 합니다

 

아래는 관련 자료입니다.

 

www.yamada-partners.gr.jp/wp-content/uploads/2020/04/04.pdf

 

물론 지금은 2020년이니 당분간은 해당될거 같지 않네요


좀 더 정확한 주민세 계산 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본 부양가족 신청에 따른 세금감면 얼마나 될까?

 

일본 부양가족 신청에 따른 세금감면 얼마나 될까?

저번 블로그에서 부양가족의 대상과 그 감면 금액이 얼마인지 "대략적"으로 알아봤습니다. 일본 부양가족 공제 - 얼마 공제 받는지 정확히 알려줌! 일본 부양가족 공제 - 얼마 공제 받는지 정확��

mmol.tistory.com

 

오늘 포스팅은 조금 길었네요 ㅎㅎ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일본 돈 이야기에 대해 더 보고 싶다면?? 👈여기!

[일본 직장생활/일본의 돈 관련 이야기] - 일본 세금 - 종류

[일본 직장생활/일본의 돈 관련 이야기] - 일본 부양가족 공제 - 얼마 공제 받는지 정확히 알려줌!

[일본 직장생활/일본의 돈 관련 이야기] - 일본 세금 - 계산방법

[잡다한 이야기] - 일본인의 평균 저축금액은 얼마일까?

[일본 직장생활/일본 취업] - 일본에 취업하기 - 일본에 오고싶은 이유

[일본 직장생활/일본 취업] - 일본 취업시 반드시 고려해야되는 4가지

 

 

 

반응형

댓글()